도스 및 윈도우 3.1부터 시작해서 윈도우 10까지 근 30년 동안 Microsoft 제품을 사용해왔지만 아직도 수많은 기능들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많다.
필요에 의해서 검색해보면 거의 대부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이지만 개인적으로 찾기 쉽게 이곳에 생각날때마다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1) cmd 관리자모드로 실행
숏컷을 만들어서 속성에서 관리자모드로 항상 실행을 해두면 되긴 하나 어디서든 쉽고 빠르게 실행하는 방법은 윈도+Q 숏컷을 눌러서 검색창을 꺼낸 다음 cmd을 입력하고 ctrl+shift+Enter 를 누르면 간단히 관리자모드로 실행가능하다.(시작메뉴에서 어떤 app이건 ctrl+shift+Enter 로 실행하게 되면 관리자모드로 실행하는 숏컷임)
2) 부팅시 F8 부트모드 설정하기
cmd를 관리자모드로 실행하여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입력 후 리부팅
(원복은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standard 입력)
3) 의심스러운 Process의 활동 살펴보기(file access, registry asscess, network access 등)
의심스러운 process만 filter를 걸어서 로깅을 해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ocs.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rocmon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4) WIFI on/off 를 cmd로
유선과 무선랜을 왔다갔다 할때 사용했던 것으로 번거롭게 네트워크 설정에 들어가서 설정할 필요없이 아래 배치파일을 작성해두고 실행만 하면 on/off 스위칭을 편하게 할 수 있다.(WIFI interface 이름이 "무선 네트워크 연결"로 그대로 두었다는 가정하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텍스트파일로 출력한후 특정 스트링을 검색하여 on/off 상태를 판단하여 켜고끄는 배치파일임)
REM @echo off
netsh interface show interface "무선 네트워크 연결" > c:\wireless_status.txt
findstr /c:"사용 안 함" c:\wireless_status.txt > nul
if errorlevel 1 (
echo 무선랜 on상태 : set to off
netsh interface set interface "무선 네트워크 연결" disable
) else (
echo 무선랜 off상태 : set to on
netsh interface set interface "무선 네트워크 연결" enable
)
5) network setting 값 변경 by cmd line
아래 커멘드들을 이용하면 해당 인터페이스의 network setting 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static addr=192.168.0.2 mask=255.255.255.0 gateway=192.168.0.1
netsh interface ip set dnsserver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static addr=8.8.8.8 register=primary
netsh interface ip add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index=2 addr=8.8.8.8
6) ffmpeg 를 이용한 화면녹화
ffmpeg.org/download.html#build-windows 에서 ffmpeg를 설치하고 해당폴더 bin 폴더까지 경로에 추가한후 아래 커멘드를 이용한다.
ffmpeg -y -rtbufsize 100M -f gdigrab -framerate 30 -probesize 10M -draw_mouse 1 -i desktop -c:v libx264 -r 30 -preset ultrafast -tune zerolatency -crf 25 -pix_fmt yuv420p "screen_capture.mp4"
NVIDIA 가속 사용
ffmpeg -y -rtbufsize 100M -f gdigrab -framerate 30 -probesize 10M -draw_mouse 1 -i desktop -c:v h264_nvenc -r 30 -preset llhq -tune zerolatency -crf 25 -pix_fmt yuv420p "screen_capture.mp4"
INTEL 가속 사용
ffmpeg -y -rtbufsize 100M -f gdigrab -framerate 30 -probesize 10M -draw_mouse 1 -i desktop -c:v h264_qsv -r 30 -preset veryfast -tune zerolatency -crf 25 -pix_fmt yuv420p "screen_capture.mp4"
마이크 장치확인
ffmpeg -list_devices true -f dshow -i dummy
음성 및 화면 녹화
ffmpeg -f gdigrab -i desktop -f dshow -i audio="마이크 장치 명" -c:v h264_nvenc -r 30 -preset llhq -tune zerolatency -crf 25 -pix_fmt yuv420p "screen_capture.mp4"
7) VirtualBox update후 가상머신 시작이 안될때(NtCreateFile failed message)
virtualbox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후(보통 program files/oracle/VirtualBox) drivers/vboxdrv 폴더로 이동하여 VBoxDrv.inf를 우클릭하여 설치를 선택한후 리부팅하고 재시도해본다.
재부팅이 귀찮으면 cmd를 관리자모드로 실행후 sc start vboxdrv 를 수행하고 다시 가상머신 부팅시도.
8) F8 부트메뉴 활성화
win10부터는 기본적으로 f8 키를 통한 부트메뉴가 비활성화되어있다. 활성화는 아래 명령을 cmd를 관리자모드로 실행한 뒤 수행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9)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process의 cpu 점유율이 높은 경우
설정 - 개인정보 - 피드백 및 진단 - 피드백 빈도 설정을 안함으로 설정
하기 Registry data를 추가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DataCollection]
"AllowTelemetry"=dword:00000000
10) 메모리 사용량이 너무 많을 경우
하루종일 쓰고 나서 보면 모든 active 창을 닫아도 메모리 점유율이 80% 이상일때 효과가 확실히 있다.
아래 값을 4로 변경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Ndu]
"Start"=dword:00000004
11) Memory Compression disable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사용해보니 용량을 너무 많이 잡아먹어서 작업관리자를 확인해보았다.
보니 메모리압축을 무려 약 800MB를 수행하고 있는 것을 발견... 물론 디스크에 페이징하는것보다는 빠른 방법일듯 보인다. 메모리 증설을 하고 해당 압축기능을 끄면 좀더 성능향상에 도움이 될 듯 하다.
powershell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후 아래 명령을 실행
disable-mmagent -MemoryCompression 혹은 disable-mmagent -mc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TS FL 응시 및 통과. (4) | 2021.04.07 |
---|---|
P0420 DTC 발생 및 관련 Study (0) | 2021.02.15 |
windows Event Viewer 를 이용한 작업할당 (0) | 2020.11.10 |
ASPICE SWE4 Testcase 도출에 대한 단상.. (4) | 2020.07.27 |
openpyxl 기본사항 정리 (0) | 2020.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