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생활 이제 겨우 3주 정도 되었는데 이런저런 정보를 접하다 보니 Cadence/케이던스 라는 수치에 대해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뭔가 대단한? 측정치? 값인줄 알았는데 별거 아니고 그냥 분당 크랭크 회전수이다.(1분에 몇번 페달을 돌리는가?)
해당 수치에 대한 의견은 이런저런 자료를 검색해보니 의견이 분분한데 대부분 이상적인 케이던스 값은 90rpm 이다 라는 의견이 중론이었다.(실제로 자전거를 타면서 머리속으로 대충 세어보면?(물론 엄청 부정확하겠지만..) 난 대략 60~70rpm 정도로 크랭크를 돌리는 듯 싶은데 좀 더 빨리 돌리면 좀 더 작은 힘? 으로 지속적으로 돌리게 되어 큰 힘 들이지 않고?(그럴리가..없다... 빨리 타는 분들은 높은 기어비에서 빨리 돌린다...!!) 타게 되고 다리에 큰 무리없이 돌리는 뭐 값이 90rpm 이라나 뭐라나... 하는 듯 싶다... 여하튼 기어비를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소위 지근을 사용해서 오래 달릴 수 있는 rpm이 90rpm이라고 하는 듯 싶다...)
이 값의 측정을 위하여서는 자전거 크랭크에 회전수 센서를 설치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확하지만 난 그냥 여지껏 달려온 데이터 기반으로 야매로 대충 계산해보고 싶었다.(뇌피셜로 타면서 머리속으로 1초씩 세어가며 나름 계산한 60~70rpm이 맞는지도 궁금하고..)
일단 내 자전거의 구동계는 Shimano Deore XT 로 보여진다...(어릴적부터 자전거 기어를 보면 시마노가 많았는데 여전히 자전거 구동계? 쪽에서 강자인가보다..)
앞쪽 스프라킷의 이빨개수와 뒤쪽 스프라킷의 이빨개수를 알아야 기어비가 계산되고 페달링 횟수가 계산 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해당 제품의 스펙시트를 찾아본다..(대충 검색해봐도 3x9 27단 변속구성의 데오레 xt 전체 기어비 혹은 이빨개수를 찾을 수가 없다...)
일단 뒤쪽 스프라킷(카세트 라고도 불리우는 듯..)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시마노 부품 메뉴얼 검색 사이트는 https://si.shimano.com/ko/manual/search 이다..)
https://si.shimano.com/ko/pdfs/ev/CS-M770-2692/EV-CS-M770-2692A.pdf
뭔 뒤쪽 스프라킷 종류도 2종인가 보다... aQ 그룹과 as 그룹의 스프라킷 이빨수가 서로 다르네..
자전거가 현재 없는 상황이라 세어볼수는 없고.. 뭐 대충 as 그룹의 이빨수로 하자..
1단부터 9단까지 각 11/13/15/17/20/23/26/30/34 개의 이빨수이다.
이번에는 앞쪽 스프라킷을 찾아보자..
https://si.shimano.com/ko/pdfs/ev/FC-M6000-4187/EV-FC-M6000-4187.pdf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뭐 일단 데오레 xt 3단 체인링 구성이라고 하니... 아래와 같다..
뭐 대충.. 40/30/22 의 이빨개수를 가지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이제 휠타이어 셋의 원주 길이와 각 단수에 맞는 속도를 구해보자.
이를 직접 해보려 하였으나 역시 자전거는 만인의 취미이므로... 이를 간단하게 엑셀로 만들어두신 분이 이미 계셔서 그 분의 엑셀을 구해서 계산해보았다..(원본링크는 못찾겠고... 다른 분의 블로그에 첨부된 자료를 찾았다.
https://download.blog.naver.com/open/e772fb415a6c6dd9f71d75447f98ec953a69923b/xr8wAqjXzoep4nXDcTlpi_1ve0wIMmYnLP3I5mNVfsZ_jKqjTy_UkvCh--U3e_J4-vKHXNM9NH9WY22TmX57pQ/%EC%9E%90%EC%A0%84%EA%B1%B0%20%EA%B8%B0%EC%96%B4%EB%B9%84%20%EA%B3%84%EC%82%B0%20Bicycle%2BSpeed%2Bv1.2.xls?type=attachment )
해당엑셀의 아무 시트나 열어서 내 자전거에 맞는 앞/뒤 스프라킷의 이빨수를 입력하고 내 자전거의 휠원주와 내가 목표로 하는 케이던스 수치를 입력하면 해당 단수에서의 한번 페달링 1회의 이동거리와 시속 속도가 나오게 되어있다.
일단 위에서 구한 수치대로 입력후 휠 원주도 내 자전거의 원주를 입력하였다. 이후 내가 뇌피셜로 아마 이 정도로 달리고 있겠거니 하는 케이던스 수치인 65를 입력해보았다.
주로 내가 달릴때 선택하는 기어단수는 앞쪽 3단(40t) 뒤쪽 대략 6~7단(17t~15t) 정도이다.
시속을 보면 대략 19km/h~21.6km/h 로 거의 주로 다니는 한강 구간에서의 속도와 비슷하게 나옴을 볼 수 있다.
머리속으로 대략 세어본 초침이 맞는 모양..ㅎㅎ...
근데 또 맞다고만 할수는 없는게... 물론 전체거리에 비례한 시속을 생각하면 맞는 값이겠지만... 보통 잘타는 소위 쫄쫄이를 입은 분들을 보면 거의 쉬지 않고 페달링을 하고 있는데 반해서 나는 열심히 밟다가도 힘이 들면 그냥 타력주행을 하는 비율이 꽤나 높은 편이다..(페달을 돌리지 않고 그냥 관성에 의한 주행..) 아마 이런식으로 달리는 관성주행 비율이 뇌피셜이긴 하지만 10~15%는 될 듯 하다...
그러니.. 관성주행 거리를 빼면... 대략적으로 내 케이던스는 70rpm은 될 듯 싶다...
자전거 주행관련 정보를 센싱하는 장비들로 측정하는 수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략.. 속도/위치/케이던스/심박/일률 을 측정하는 것들이 있는 듯 싶다... 뭐 건강하자고 타는 자전거이니.. 이런저런 측정장비들이 많아도 재미있을 것 같긴 하다.. 나중에 하나씩 추가해가는 재미도 있을 듯..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으로 Pptx Docx Xlsx 모두 속성 변경하기.. (1) | 2024.11.14 |
---|---|
엑셀파일 정보를 일괄로 변경해보기. (1) | 2024.11.10 |
Resilience / 回復彈力性 讀書感想文 (0) | 2024.02.11 |
손상된 m4a 파일 복구 삽질기/Process Explorer 활용기 (0) | 2023.10.31 |
CapCut Auto Caption srt 자막파일로 저장하기 (2) | 2023.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