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xy S25+ vs S25 Ultra 무엇을 살 것인가..
지난주 목요일에 Unpack 행사? 를 하고 지난주 금요일부터(1/24) 삼성 갤럭시 S25 시리즈에 대한 사전예약을 받고 있는 중이다.(2/3까지 인가 진행하는 듯 싶다.)
아래는 각 모델별 나무위키에 정리된 링크들이다.
기존에 사용중인 폰이 노트20울트라 인데.. 만 4년이 넘어가다보니 슬슬 지겹기도 하고..ㅎㅎ 결정적으로 메인카메라의 포커싱이 자주 안되는 상황이 발생중이다..ㅠㅠ(그것도 근접피사체에 대한 포커스가 나가는 것이 아닌 무한대 포커스가 안맞는다..ㅠㅠ;; 따라서 풍경사진을 찍을 때 애로사항이 자주 꽃핀다...)
그리고 가끔씩 일부 앱이 먹통이 되는 현상... ㅎㅎ 이건 그냥 팩토리리셋하고 깔끔하게 필요한 앱들만 설치하고 사용하면 아마 거의 해결될듯...한데... 귀찮다..ㅋㅎㅎ... 그리하여 S25로 기변을 해볼까 하여 이것저것 찾아보게 되었다..(아마 새폰을 사용하고 싶다는 욕심이 더 클 듯 싶다 ㅎㅎ)
출시된 S25 시리즈의 사양/가격 등을 고려해보니 한참을 끝까지 고민하다 마지막으로 압축된 모델은 S25+ 512GB 혹은 S25 Ultra 1TB (램 16GB말고.. 그냥 512GB 사전예약하면 주는 램 12GB짜리 더블스토리지 적용된 1TB 버전...) 이다.
여기서 또 고민고민해보니... S25+ 와 S25 Ultra의 가장큰 차이는 액정과 카메라이다. (물론 램과 최대용량 및 S pen은 논외.. 그리고 UWB 유무도 제외...ㅎㅎ.. 그리고 배터리 차이는 100mah, 그리고 굳이 따지자면... 색상차이와.. 후면 글래스 차이.... 정도??)
액정차이라고 해봐야 고작 0.2inch(약 5mm) 차이이고.. 최대용량 차이는 무려 512GB이지만.. 내 사용패턴을 볼 때 굳이 1TB 까지는 필요가 없을 듯 싶다...(노트20울트라는 Micro SD slot이 있어서 512GB 카드를 끼워놓고 그곳에 MP3를 약 300GB 넣어놓고 다녔다..ㅎㅎㅎ... 음악이야 그냥 스트리밍으로 들으면 되는 좋은 세상이니.. 그걸 제외하면 용량은 512GB로 충분하다..) 게다가 이번 S25는 AP 도 전모델 동일하므로(Snapdragon 8 Elite) 고민사항이 되지 않는다...(여러 유튜버들이 올려놓은 S25/S25+/S25Ultra bechmark 결과를 보아하니 딱히 모델간 detune해놓았다거나 하는 식으로 급을 나누어 놓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노트20울트라를 4년간 사용하면서 S pen은... 아마 10번 정도 사용했나... 싶다 ㅎㅎㅎ
결국 가장 큰 차이는 카메라이다. 일반 S25 및 S25+의 카메라 구성과 S25 Ultra의 카메라 구성은 꽤나? 차이가 난다.
아래는 궁금해서 찾아본 내가 사용하는 갤럭시 노트20울트라와 이후 출시된 시리즈들의 카메라 구성표이다.
S25 50 MP, f/1.8, 24mm (wide), 1/1.56", 1.0µm, dual pixel PDAF, OIS 10 MP, f/2.4, 67mm (telephoto), 1/3.94", 1.0µm, PDAF, OIS, 3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Super Steady video S25 Ultra 200 MP, f/1.7, 24mm (wide), 1/1.3", 0.6µm, multi-directional PDAF, OIS 10 MP, f/2.4, 67mm (telephoto), 1/3.52", 1.12µm, PDAF, OIS, 3x optical zoom 50 MP, f/3.4, 111mm (periscope telephoto), 1/2.52", 0.7µm, PDAF, OIS, 5x optical zoom 50 MP, f/1.9, 120˚ (ultrawide), 0.7µm, dual pixel PDAF, Super Steady video S24 50 MP, f/1.8, 24mm (wide), 1/1.56", 1.0µm, Dual Pixel PDAF, OIS 10 MP, f/2.4, 67mm (telephoto), 1/3.94", 1.0µm, PDAF, OIS, 3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Super Steady video S24 Ultra 200 MP, f/1.7, 24mm (wide), 1/1.3", 0.6µm, multi-directional PDAF, Laser AF, OIS 50 MP, f/3.4, 111mm (periscope telephoto), PDAF, OIS, 5x optical zoom 10 MP, f/2.4, 67mm (telephoto), 1/3.52", 1.12µm, Dual Pixel PDAF, OIS, 3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Dual Pixel PDAF, Super Steady video S23 Primary: 50MP 1/1.56″ sensor, 1.0 μm pixels, f/1.8-aperture lens, PDAF, OIS Ultra-wide: 12MP 1/2.55″ sensor, 1.4µm pixels, f/2.2-aperture lens, Super Steady Video Tele: 10MP 1/3.94″ sensor, 1.0µm pixels, f/2.4-aperture lens, PDAF, OIS S23 Ultra 200 MP, f/1.7, 24mm (wide), 1/1.3", 0.6µm, multi-directional PDAF, OIS 10 MP, f/2.4, 70mm (telephoto), 1/3.52", 1.12µm, PDAF, OIS, 3x optical zoom 10 MP, f/4.9, 230mm (periscope telephoto), 1/3.52", 1.12µm, PDAF, OIS, 10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dual pixel PDAF, Super Steady video S22 Primary: 50 MP 1/1.56″ sensor, 1.0μm pixels, 85-degree field of view, f/1.8-aperture lens, OIS, Dual Pixel AF Ultra-wide: 12MP 1/2.55″ sensor, 1.4μm pixels, 120-degree field of view, f/2.2-aperture lens, Dual Pixel AF Tele: 10MP 1/3.94″ sensor, 1.0μm pixels, 36-degree field of view, f/2.4-aperture lens, 3x optical zoom S22 Ultra 108 MP, f/1.8, 23mm (wide), 1/1.33", 0.8µm, PDAF, OIS 10 MP, f/2.4, 70mm (telephoto), 1/3.52", 1.12µm, PDAF, OIS, 3x optical zoom 10 MP, f/4.9, 230mm (periscope telephoto), 1/3.52", 1.12µm, PDAF, OIS, 10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dual pixel PDAF, Super Steady video S21 Primary: 12 MP 1/1.76-inch sensor with 1.8 μm pixels, 26 mm-equivalent f/1.8 lens, dual-pixel PDAF, OIS Ultra-wide: 12 MP sensor with 1.4μm pixels, 13 mm-equivalent f/2.2 lens Tele: 64 MP 1/1.72-inch sensor with 0.8μm pixels, 29 mm-equivalent f/2.0 lens S21 Ultra 108 MP, f/1.8, 24mm (wide), 1/1.33", 0.8µm, PDAF, OIS 10 MP, f/2.4, 72mm (telephoto), 1/3.24", 1.22µm, dual pixel PDAF, OIS, 3x optical zoom 10 MP, f/4.9, 240mm (periscope telephoto), 1/3.24", 1.22µm, dual pixel PDAF, OIS, 10x optical zoom 12 MP, f/2.2, 13mm (ultrawide), 1/2.55", 1.4µm, dual pixel PDAF, Super Steady video S20 12 MP, f/1.8, 26mm (wide), 1/1.76", 1.8µm, dual pixel PDAF, OIS 64 MP, f/2.0, 29mm (telephoto), 1/1.72", 0.8µm, PDAF, OIS, 1.1x optical zoom, 3x hybrid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Super Steady video S20 Ultra 108 MP, f/1.8, 26mm (wide), 1/1.33", 0.8µm, PDAF, OIS 48 MP, f/3.5, 103mm (periscope telephoto), 1/2.0", 0.8µm, PDAF, OIS, 4x optical zoom, 10x hybrid zoom 12 MP, f/2.2, 13mm, 120˚ (ultrawide), 1/2.55" 1.4µm, Super Steady video 0.3 MP, TOF 3D, f/1.0, (depth) Note20 Ultra 108 MP, f/1.8, 26mm (wide), 1/1.33", 0.8µm, PDAF, OIS 12 MP, f/3.0, 120mm (periscope telephoto), 1.0µm, PDAF, OIS, 5x optical zoom, 50x hybrid zoom 12 MP, f/2.2, 120˚, 13mm (ultrawide), 1/2.55", 1.4µm |
S21 이후로는? Ultra 모델은 대체로 후면카메라가 쿼드구성이고 일반모델 및 플러스 모델들은 죄다 트리플 카메라 구성이다. 내가 사용하던 노트20울트라는 그냥 트리플 구성이고.. ㅎㅎ
카메라의 경우도 노트20울트라를 사용하며 최대해상도로 찍지 않고 사용하였다.(불필요하게? 사진을 많이 찍는 편인데.. 굳이 최대해상도로 해놓지 않아도 충분히 사용할만 했다.. 최대해상도로 해놓으면 storage가 금방... 찬다..ㅠㅠ)
2022년에 출시된 S22 이후로는 ultra 모델을 제외하면 대체로 거의 모든 일반모델 및 플러스 모델들에서 메인카메라는 같은 spec을 가진 센서와 광학계를 사용한 것으로 보여진다.(적어도 저 위의 테이블 결과대로라면..)
50MP 1/1.56″ sensor, 1.0 μm pixels, f/1.8-aperture lens, PDAF, OIS
최대조리개값 및 OIS 는 센서와는 무관한 부분이므로 센서에 대한 위 테이블의 스펙만 따져보면..
50MP 1/1.56″ sensor, 1.0 μm pixels, PDAF 가 되겠다...
5천만 화소의 센서 사이즈는 1/1.56 인치 이고 픽셀사이즈는 1마이크로미터.
대체로 자사의 ISOCELL 이라는 브랜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아는데 모델별 차이가 있나싶어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이 Wikipedia에 잘 정리가 되어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ISOCELL
ISOCELL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obile camera sensors by Samsung Semiconductor The ISOCELL CMOS camera sensors are a family of sensors produced by Samsung and available for purchase by other companies. They are used in a wide variety of products incl
en.wikipedia.org
S22 이후로 일반 모델들에 사용된 ISOCELL image sensor model과 위 사이트에서 복사한 해당 모델들 detail spec table
S22 ISOCELL GN5 (S5KGN5)
S23/S24 ISOCELL GN3 (S5KGN3)
Model(Part Number) Release date | Resolution | ADC accuracy (bits) | Output formats RAW(bits) | Diagonal in Optical format (or mm) | Pixel size (μm) | Pixel type | Color Filter | Auto Focus | Staggered HDR | Dual Conversion Gain | Products used in |
ISOCELL GN5 (S5KGN5) / 2021.09.02 | 8160 x 614450 Mp Video: 7680 x 4320 @ 30 fps |
10 | 8/10/12 | 1/1.57" (10.19 mm) |
1.0 | ISOCELL 2.0 | Dual Tetrapixel RGB Bayer | Dual Pixel Pro PD | Yes | Smart-ISO Pro | Rear: Samsung Galaxy S22 Samsung Galaxy S22+ Vivo iQOO 9 Vivo iQOO 9 Pro Vivo iQOO 10 (iQOO 9T in India) Vivo iQOO 10 Pro Vivo X Fold Vivo X Fold+ |
ISOCELL GN3 (S5KGN3) / 2022.08.13 | 8160 x 614450 Mp Video: 7680 x 4320 @ 30 fps |
10 | 8/10/12 | 1/1.57" (10.19 mm) |
1.0 | ISOCELL 2.0 | Dual Tetrapixel RGB Bayer | Dual Pixel PD | Yes | Smart-ISO Pro | Rear: Samsung Galaxy S23 Samsung Galaxy S23+ Samsung Galaxy S24 Samsung Galaxy S24+ Samsung Galaxy Z Fold 4 |
신기한 점은..? S22에 적용된 GN5 센서와 S23/S24 에 적용된 GN3를 보면 적어도 이름상으로는 GN5가 더 좋은 모델같아 보이고 위의 스펙표에서도 보이듯이 다른점은 동일하나 자동초점 검출방법에 있어서 다른 점이 있다. 오히려 더 다운그레이드된? 센서를 S23/S24 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단가 때문에 그런것인지... 모르겠다 ㅎㅎ.. 아마도 초점방식을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센서수율이 달라진다던지 하는 이유로 오히려 detune된 GN3가 단가가 쌀 수도...?? )
S22은 자동초점 방식이 Dual Pixel Pro PD 이고 S23/S24는 Dual Pixel PD 이다. 대충 찾아보니 위상차 자동초점 검출에 사용할 픽셀의 조합이나 방법이 달라지는 듯 싶다..
여하튼... 저 S5KGN3 센서가... S25/S25+에도 사용된 듯 싶다.... 그런데... 좀 더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ㅡ.ㅡ;;
갤럭시 S22/논란 및 문제점
2022년 2월 10일에 공개되고 2022년 2월에 출시된 갤럭시 S22 시리즈의 논란과 문제점에 관하여 서술한
namu.wiki
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3827449&isAllArticles=true
갤럭시S 울트라에서 기본형(노말/플러스) 기변을 고려할 때 참고해야할 점 (카메라)
S21 울트라를 쓰시던 분께서 무겁다며 S25 기본형으로 기변을 고려하고 계시기에, 이런 저런 말을 해드리다
www.ppomppu.co.kr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laxy&no=369096&exception_mode=recommend&page=1
갤럭시s22 카메라 성능의 심각한 문제.jpg - 갤럭시 마이너 갤러리
소니 버린 죄...- dc official App
gall.dcinside.com
대체로... S22때부터 우려먹은 사골센서라는 것과.. 그리고 오히려 S10e보다도(찾아보니 S10e는 GN3보다도 1년전에 발표된 1200만화소짜리 ISOCELL 2L4 (S5K2L4) 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떨어지는 화질 등이 문제가 되는 듯 싶다...(물론 센서만의 문제인지... 광학계의 문제인지... 후처리의 문제인지... 등등... 정확한 건 모른다...@@;;;)
카메라 렌즈/센서 등의 평가에서 나름 신뢰도?를 가지고 여러곳에서 참고되는 평가 사이트 중에 Dxomark 라는 사이트가 있는데(https://www.dxomark.com/smartphones/) S24/S24+ 의 순위를 보면 아래와 같다.
전체 스마트폰 순위? 중에 삼성제품이 젤 처음 나오는 것이 28위 S24 Ultra이고... 그 다음으로 등장하는 것이 48위 S22 Ultra.. 그리고 그 다음이 60위/61위에 랭크된 S24/S24+ 이다..
Dxomark는 예전에 꼬꼬마 시절에 한참 DSLR로 사진 찍을때도 렌즈 평가 등으로 많이 거론되는 사이트로 알고 있는데.. 요즘은 어떤지는 잘 모르겠으나..(검색을 좀 해보니 중국자본에 의해? 결과의 신뢰도를 문제삼는 평이 더 많아보인다..) 여튼.. 순위상으로 보면.. (전반적으로 삼성제품 순위가 그리 높지는 않으나... ) 의외로 그렇게 욕먹는 GN3 센서를 사용한 S24/S24+도 삼성제품에 한해서는..? ㅋㅋ.. 나름 순위권이다... 아래는 삼성제품으로만 소팅한 결과 중 상위권 순위이다....
뭐 어차피 판단은 사용자의 몫이고.. 센서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센서로부터 받은 Raw data를 처리하는 ISP/AP의 발전 및 NPU의 발전에 따른 후처리성능 향상에 의해 화질이 또 바뀔수도 있는 것이고... 사용자에게 알리지는 않겠지만 뭔가 광학계에서도(렌즈 성능향상 등) 변경점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어차피 거의 폰으로만 결과물 확인하고 크롭정도나 하고 후보정하고 하는 등등으로 원본을 사용하는 일도 없는 경우가 많아서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 같긴 한데 뭔가 찝찝한 이 기분은 지울 수가 없다.. ㅎㅎㅎ